본문 바로가기

부동산63

부동산 중개수수료 부동산 중개수수료에 대해 얼마나 나올지 또 어떻게 수수료를 낮출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매우 많은데요, 전월세를 구하든 매매를 하든 공인중개사의 중개 없이 거래하기는 어렵습니다. 중개수수료를 어쩔 수 없이 모두 부담하게 되는데요, 문제는 모수가 크기 때문에 수수료율이 낮더라도 금액이 꽤 클 수 있습니다. 우선 중개수수료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저도 계약을 치르면서 곤란했던 점이나 궁금할법한 얘기를 나열하려 합니다. 1. 중개수수료는 임차인, 매수인만 부담한다? 제가 맨 처음에 대학교 근처 원룸을 구할 때 중개수수료는 저만 부담하는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중개수수료는 매수인과 매도인, 임대인(집주인)과 임차인 모두 부담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매도인, 임대인은 상한요율을 모두.. 2020. 12. 1.
덕은 호반써밋 DMC 분양 오늘은 2020년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 몇 남지 않은 좋은 분양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12월 2일 수요일부터 특별공급을 진행하는 덕은 호반 써밋은 좋은 조건의 청약이라고 사람들이 평가하는데요, 그 이유를 하나씩 살펴보려 합니다. 덕은 호반써밋 전경은 위와 같은데요, 단지 CG는 고척 아이파크가 더 이쁜 거 같긴 합니다 ㅠㅠㅋㅋ 고척 아이파크 청약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chikkorita.tistory.com/2?category=943121 고척 아이파크 분양 오늘은 고척 아이파크 분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https://hdc.i-park.com/gocheok 고척 아이파크 아이파크, 고척에 없던 라이프를 짓다! hdc.i-park.com 분양일정 분양일정은 .. 2020. 11. 30.
위례 공공분양, 위례 A1-5, A1-12 분양일정 오늘은 올해가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마지막 대어로 손꼽히는 위례 공공분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례 A1-5BL, A1-12BL의 위치는 복정역, 문정역보다는 거여역에 더 가까울 것 같습니다. 다음 지도에서 직선거리를 재봤는데요, 도보11분으로 나오나 아마 15분 정도는 걸릴 것 같고 대단지 아파트에서 이 정도 거리는 큰 문제는 아닐 것 같습니다. 분양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장 11월 30일, 12월 1일부터 특별공급 청약 접수가 시작되고 12월 10일에는 일반공급 제1순위, 12월 11일에는 일반공급 제2순위 청약 접수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일반공급의 경우 1순위 신청자가 공급세대수의 600%에 달할 경우 2순위는 더 이상 신청 접수를 받지 않는다고 공고를 냈네요 ㅠㅠ 위례지구가.. 2020. 11. 30.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오늘은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을 처분할 때 양도소득세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과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요건을 만족한다면 매매가액 9억 원을 초과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양도소득세를 한 푼도 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차 일시적 2 주택 비과세 요건에 대해서는 아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chikkorita.tistory.com/8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요건 그렇다면 조정대상지역 2 주택자 8% 중과세 취득세율의 예외규정인 일시적 2 주택은 어떤 경우일까요? 5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 1. 1 세대가 일시적으로 2 주택을 보유하게 될 때 일 chikkorita.tistory.com 1. 간단한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1.1 보유 .. 2020. 11. 29.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요건 그렇다면 조정대상지역 2 주택자 8% 중과세 취득세율의 예외규정인 일시적 2 주택은 어떤 경우일까요? 5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 1. 1 세대가 일시적으로 2 주택을 보유하게 될 때 일반적으로 현재 살고 있는 집에서 1년 이상 지난 후 조정대상지역이라면 종전 주택을 1년 이내에 양도하고 새로운 주택을 1년 이내 전입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2019년 1월에 첫주택을 구매하였는데, 2020년 2월에 두 번째 주택을 10억 원에 매매하고 종전 주택을 2021년 2월 전까지 매매하고, 두 번째 주택에 전입하게 된다면 8% 중과세 취득세율이 적용되는 것이 아닌 3% 취득세율만 적용됩니다. 2. 상속을 받아 2 주택을 보유하게 될 때 앞서 말한 것 처럼 5년의 유예기간을 주며, 법률해석상 5년간의.. 2020. 11. 29.
취득세 이슈 정리 취득세란 무엇이고 얼마나 과세되는지 간단히 알아보고 개정된 내용은 무엇인지, 취득세 이슈를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취득세란? 취득세란 매매, 신축, 교환, 상속, 증여 등의 방법에 의하여 대가를 지급하거나 대가 없이 부동산의 소유권을 획득 시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과세대상은 거래금액에 따라 1~3% 취득세율에 농어촌특별세와 지방교육세가 더해져 주택의 경우 최대 3.5%까지 과세됩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 중위값인 10억 원 아파트를 매매한다면, 취득세 3.3%인 3천3백만 원과 공인중개사 최대 중개수수료 0.9%인 9백만 원이 더해져 4천2백만 원 이상이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오피스텔에 대해서는 주거용으로 인정되더라도, 국세청의 입장은 오피스텔은 주거용으로 사용할지라도 건축물로 간주하여 4.6% 취득세.. 2020. 11. 29.